미국發 强달러에 대처하는 3대 해법

    • 김용범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입력 2017.01.21 03:00

① 가계 부채 관리 ② 기업 구조조정 ③ 국제 자본흐름 주시

김용범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김용범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올해 국제 금융을 이해하는 키워드를 한 가지 꼽는다면? 강(强)달러다. 미국 달러화 가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양적 완화를 종료하고 정책금리 인상을 시사하기 시작한 2014년 6월부터 강세로 돌아섰다. 작년 말 금리를 한 차례 올린 미국 연준은 올해 역시 수차례 금리 추가 인상을 예고해 강달러 사이클이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신(新)행정부가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약(弱)달러를 선호할 것이란 예측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강달러 시대는 세계 금융시장에 잔뜩 풀렸던 달러화가 미국으로 다시 돌아가는 시기다. 국제 경제활동의 핵심 지급수단인 달러의 유통량이 줄면 국제무역 활동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 자금 시장에 흘러든 풍부한 달러화 덕분에 자산 가치가 상승하는 혜택을 누렸던 신흥국 역시 긴장할 수밖에 없다.

이럴 때 신흥국이 선택 가능한 대응책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급격한 달러화 유출로 인한 자금 위축을 감내하는 것이다. 이 경우 달러 유동성이 풍부한 시기에 형성된 자산 시장 거품은 꺼질 수 있다. 부채가 많은 기업이나 가계의 어려움도 커질 것이다. 경제성장률은 자연히 떨어지게 된다. 두 번째 대안은 자국 화폐가치를 내려 달러 유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국내 경기 위축을 적극적으로 막을 방법이다. 다만 과도한 기업·가계 부채 등의 불균형을 해결하지 못한다는 점, 환율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은 단점이다.

강달러 시대 미국 정부의 국제금융 철학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 정부가 무역수지 적자를 감수하며 자국으로 돌아오는 달러화 유동성을 다른 나라로 환류시키면 신흥국이 겪을 강달러 충격은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문제는 미국 내에서 보호무역주의 흐름이 강해질 경우다.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자는 목소리가 높아지면 국제 금융시장의 달러 유동성은 더 줄어들 것이다. 특히 대미 무역수지 흑자국에 대한 환율 간섭이 심해지면 대미 무역 흑자국의 환율 정책 운용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 갓 출범한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를 전 세계가 긴장하며 바라보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한국 경제는 수퍼 달러 시대를 헤쳐나갈 대응 여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국제무역 수지의 흑자 기조가 탄탄하고, 단기 외채 비중도 매우 낮다. 대내 균형과 대외 균형 목표가 어긋나지 않게 경제정책을 신중하게 운용해온 경험도 풍부하다. 그러나 긴장의 끈을 늦춰선 안 된다. 현재 국제금융 시스템은 긴밀하게 연결돼 있어 어느 한 나라가 파고에 흔들리면 그 영향이 우리나라에도 전이된다. 올 한 해 내내 가계 부채·기업 구조 조정 등 국내 경제의 위험 요인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동시에 국제 자본의 흐름, 국제 통화·금융 시스템의 변화도 면밀하게 관찰하며 유연한 대처법을 찾아나가야 할 것이다.

놓치면 안되는 기사

팝업 닫기

WEEKLY BIZ 추천기사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