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5.01.31 03:03
맥커운 씨는 무리한 요구는 우아하고 정중하게 거절하라고 조언한다. 그는 경영학 구루 피터 드러커의 일화를 통해 요령 있는 거절법을 소개한다. '몰입(沒入)'이란 책으로 유명한 심리학자 칙센트미하이가 창의성에 대한 책을 쓰면서 자료 수집을 위해 드러커에게 인터뷰를 요청했을 때 드러커는 편지를 써서 정중하게 거절의 뜻을 표했다.

"서면으로 보내주신 요청 건은 저로서는 큰 영광이고, 기쁨이었습니다. 저 역시 교수님의 저술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고, 훌륭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칙센트미하이 교수님, 실망을 드려 염려되지만, 교수님의 요청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점을 말씀 드려야 하겠습니다. (…) 이렇게 말씀을 드리게 된 점에 대해 주제넘다거나 무례하다고 여기지 말아주시기를 바랍니다만, 제가 생각하는 생산성의 한 가지 비결은(저는 창의성이라는 말보다는 생산성이라는 말을 더 믿습니다) 자신에게 밀려오는 수많은 요청을 모두 담을 수 있는 아주 거대한 휴지통을 마련해두는 것입니다. 제 경험으로 생각해 봤을 때 생산성을 높이는 비결 가운데 하나는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도와주는 그 어떤 것도 하지 말고, 자신의 모든 시간을 신께서 부여해주신 각자의 역량에 꼭 들어맞는 일을 하는 데 온전히 사용하면서 그 일을 제대로 하는 것입니다."
에센셜리스트다운 사고방식이다. 피터 드러커는 "아니오"라고 말해야 무언가를 제대로 해낼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비 에센셜리스트는 사회적 압박이 두려워 쉽게 "예"라고 말한다. 단지 다른 사람들의 기분을 좋게 하고 칭찬을 받기 위해 아무런 생각 없이 대답하는 것이다. 하지만 에센셜리스트들은 그 칭찬에 뒤이어 자신의 마음속에서 후회가 밀려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에센셜리스트다운 사고방식이다. 피터 드러커는 "아니오"라고 말해야 무언가를 제대로 해낼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비 에센셜리스트는 사회적 압박이 두려워 쉽게 "예"라고 말한다. 단지 다른 사람들의 기분을 좋게 하고 칭찬을 받기 위해 아무런 생각 없이 대답하는 것이다. 하지만 에센셜리스트들은 그 칭찬에 뒤이어 자신의 마음속에서 후회가 밀려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
- 共存共生 온·오프라인의 경계가 무너진다 레드우드 시티(미국)=배정원 조선비즈 기자
- 인터넷 땡처리라니? 신뢰를 사고파는 相生모델될 것 뉴욕=윤형준 기자
- 진화하는 유통시장… 고객 유혹하려면 온·오프 잘 섞어야 강희석 베인앤컴퍼니 파트너
- 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 'Inspire' 조승연 오리진보카 대표
- 간디, 손자 이야기 들어주기 위해 대통령 미팅도 거절 배정원 조선비즈 기자
- 유럽중앙銀 양적 완화 美·日처럼 경제회복? 절벽 아래로 떨어질 것 스티븐 로치 예일대 교수
- 경영권 승계, 핏줄 아닌 전문경영인을 믿어라 장세진 KAIST 경영대 교수
- 엄정하되 너그러워야 사람의 마음 보인다 이한우 문화부장
- 다 버려라… 핵심만 빼고 팰러앨토(미국)=배정원 조선비즈 기자
Copyright ⓒ WEEKLY BIZ. All Rights Reserved
위클리비즈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