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잡으면 腦가 변해… 터널처럼 시야 좁아져 獨走할 가능성 커져"

입력 2014.07.05 03:04

뇌·신경 심리학자 이안 로버트슨 교수
지나친 권력은 코카인 - 성공하면 분비되는 호르몬
도파민 분출 증가시켜 과감해지며 집중력도 증가
도파민 분비 과도해지면 오만에 빠져 실패 걱정 안해
부작용 상쇄할 장치 필요 - CEO가 성공하면 할수록 견제할 강력한 이사회 필수
나 보다 사회위한 권력 추구… 여성에게 그런 경향 많아
권력 기관의 고위직에 더 많은 여성 있어야

"권력을 쥐면 사람의 뇌가 바뀝니다. 도파민과 테스토스테론이 분출되는데, 이로 인해 공감 능력이 약화되고, 목표 달성이나 자기만족에만 집중하게 됩니다."

뇌·신경 심리학자인 이안 로버트슨(Robertson) 아일랜드 트리니티칼리지 교수 말이다. 최근 방한한 그는 "기업에서도 CEO 한 명에게 장기간 권력이 집중될 경우 CEO의 뇌 구조가 바뀌어 폭주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CEO에게 집중되는 권력을 견제할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네이처' 등 과학 저널에 논문을 250편 썼으며, 책도 10여권 냈다. 그의 신간 '승자의 뇌(The Winner Effect)'는 작년에 국내 출간됐다.

뇌·신경 심리학자 이안 로버트슨 교수
뇌·신경심리학자인 이안 로버트슨 교수는 “이사회 견제를 받지 않는 독단적인 리더십은 기업을 일구는 단계에서는 충분히 가능한 얘기지만 기업이 성숙 단계로 접어든 후에는 반드시 견제와 균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주완중 기자

1. 권력을 잡으면 뇌가 바뀐다고 했는데, 어떻게 바뀌나?

"성공하면 사람이 변한다고들 하는데 맞는 말이다. 권력은 매우 파워풀한 약물이다(Power is a very powerful drug). 인간의 뇌에는 '보상 네트워크'라는 것이 있다. 뇌에서 좋은 느낌이 들게 하는 부분이다. 권력을 잡게 되면 이 부분이 작동한다. 테스토스테론이란 남성호르몬을 분출시키고, 그것이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 분출을 촉진해 보상 네트워크를 움직인다. 그래서 사람을 더 과감하고, 모든 일에 긍정적이며, 심한 스트레스를 견디게 한다. 권력은 항우울제다. 또 도파민은 좌뇌 전두엽을 촉진해 권력을 쥔 사람을 좀 더 스마트하고, 집중력 있고, 전략적으로 만들어 준다.

하지만 지나친 권력은 코카인과 같은 작용을 한다. 중독이 된다는 얘기다. 너무 많은 권력을 가지게 되면, 너무 많은 도파민이 분출된다.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지 않고, 실패에 대해 걱정하지 않고, 터널처럼 아주 좁은 시야를 갖게 하며, 오직 목표 달성이란 열매를 향해서만 돌진하게 된다. 인간을 자기애에 빠지게 하고, 오만하게 만든다. 권력은 모든 상황을 자신이 통제할 수 있다는 환상에 빠지게 한다. 권력은 코카인, 섹스, 돈과 마찬가지로 도파민이라는 공동 통화를 사용한다.

적절한 통제감은 스트레스로부터 우리를 보호해 주지만, 지나치면 착각으로 바뀐다. 도파민 분출 정도를 X축으로 하고, 뇌의 능력을 Y축으로 보면, 도파민 분출 정도에 따른 뇌 능력은 뒤집힌 U자 형태를 보인다. 도파민이 적정선일 때만 최적의 능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뇌는 심지어 자세를 바꾸는 것만으로 바뀐다. 인간의 뇌는 '내가 지배자야'라고 생각하도록 속일 수 있다. 사장님 자세를 취한 것만으로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올라가며 도파민이 증가한다. 인턴 자세를 취한 것만으로 당신의 테스토스테론 수준은 낮아질 것이다."

2. 사례를 든다면?

"2008년 리먼 쇼크가 난 뒤 디트로이트 빅3(GM·포드·크라이슬러)의 CEO가 모두 워싱턴으로 갔다. 구제금융을 얻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세 사람 모두 값비싼 전용 비행기를 타고 갔다. 언론은 그들을 거세게 성토했다.

왜 그들은 그게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을까? 테스토스테론은 성공을 거둘 때 증가한다. 빅3 CEO는 많은 성공을 거둬왔다. 그래서 그들의 뇌에서는 테스토스테론과 도파민이 엄청나게 분출됐을 것이다. 그것이 좌뇌 전두엽을 촉진해 집중력이 높아지고 용감해진다. 반대로 우뇌 전두엽의 활동은 둔화시켜 자가 진단과 자각 능력이 약해진다. 성공한 이들이 갖는 두둑한 배짱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항상 내포한다. 자칫 큰 그림을 보지 못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변의 경고와 신호를 무시한 채 오로지 목표 달성만 추구하다가 기업 전체를 비극으로 빠뜨리는 CEO가 여기에 해당한다.

권력은 시야를 좁게 만든다. 리스크나 하방 위험이나 부정적 결과에 무뎌지게 만든다. 뇌가 그런 것을 기억하지 못하게 만든다. 내가 받게 될 보상에 대해서만 몰입하게 한다. 법과 법치는 나와 상관없다고 생각하게 한다. 권력은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나를 바라보기 어렵게 만든다. 권력은 공감의 적이다. 키신저는 '권력은 가장 큰 최음제'라고 했다."

승자의 뇌(The Winner Effect)

3. 약물로 권력욕의 부작용을 조절할 수 있나? 만일 가능하다면 도파민 과다로 폭주하는 CEO에게 약물로 도파민 수치를 억제하면 어떨까?

"김정은에게 도파민 레벨을 줄이는 게 좋으니 약물을 드시는 게 좋다고 할 만한 사람이 북한에 있을까? 당신의 질문에 대한 대답은 이론적으로 '예스(Yes)'이다. 하지만 그렇게 용감한 부하나 의사가 세상에 어디에 있겠나?(웃음) 게다가 인간의 뇌는 아주 복잡해서 도파민 레벨을 줄이는 약물을 복용하는 것만으로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다. 약물은 인간 뇌의 보상 네트워크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

기업의 경우, 이것에 대한 유일한 해독제는 아주 강력한 이사회를 갖는 것이다. 민주주의에서는 삼권분립과 언론으로 권력의 부작용을 상쇄하는데, 기업에는 견제 요소가 적다. 이사회에서 견제해야 하고, 이사회 의장이 견제를 해줘야 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모든 사람이 모든 사람을 3개월마다 평가하는 제도도 갖고 있다. 물론 권력에 제약을 가하기 쉽지는 않다."

4. 스티브 잡스는 시대를 바꿀 만한 업적을 냈지만, 직원에게 폭언하는 등 테스토스테론과 도파민 과다의 부작용도 있었던 것 같다.

"그의 행동들은 주변 사람들을 힘들게 만든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 점을 생각해 보라. 그는 자신이 창업한 회사의 이사회 결정으로 회사에서 쫓겨나기도 했다. 그는 이사회에서 자유로운 '자유의 손'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 그전에도 이사회에서 많은 충돌이 있었고, 잡스가 어떤 결정을 하기 위해 이사회와 싸워야 할 때도 있었다.

또한 그의 리더십이 개인적인 영화나 자기애적인 것에 의해 동기부여가 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그의 행동들에 문제가 있기도 했지만, 그는 조직 내 아이디어에 늘 귀를 기울였고, 아이디어에 따라 움직였다. 그리고 그에겐 창의적 비전이 있었다. 그 와중에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해도 그의 비전을 따라 조직이 움직였다고 생각한다. 그는 내가 말한 원칙들에 예외적인 경우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문제는 오늘날 많은 CEO나 리더들이 자신들이 스티브 잡스와 같은 줄 착각한다는 것이다(웃음)."

5. 우리는 왜 그토록 이기고 싶어 할까?

"통제감(sense of control)을 갖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내가 주위 환경에 무기력한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내 삶과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이 삶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자기 삶을 통제할 수 있는 느낌, 통제감은 스트레스 해독제와 같다. 인간에게 최악의 스트레스는 개인의 자아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인데, 성공은 그런 스트레스에 대해 보호해 주는 보험과도 같은 작용을 한다. 스트레스를 받고 안 받고는, 이기고 지는 것보다 내 삶을 통제하고 있느냐 아니냐의 문제다."

6. 책에 'P파워(개인적 권력)'와 'S파워(사회적 권력)'라는 말이 나오던데 무슨 뜻인가?

"P파워는 개인적 목적을 위한 권력이다. P파워를 추구하는 이들은 삶을 선악의 대결이나, 내가 이기고 네가 지는 제로섬게임으로 묘사한다. 내가 보스라는 데서 오는 그런 쾌감을 매우 즐긴다. 하지만 S파워에 더 큰 동기를 부여하는 사람도 있다. 그들은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갖도록 하기 위해 권력을 원한다. 어떤 제도나 집단 혹은 사회를 위한 목적에 초점을 맞춘 권력이다. 단지 이기는 것만이 아니라 어떤 편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변화를 추구한다. 오바마는 S파워에 대한 욕구, 부시는 P파워에 대한 욕구가 강한 편이다. 선생님이나 간호사는 권력을 갖고 있지만 S파워에 가깝다. S파워는 P파워에 대한 해독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더 그런 경향이 있다. 권력 기관 고위직에 더 많은 여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권력을 가진 사람은 이따금 자신에게 물어야 한다. 나는 지금 권력에 도취해 있는 것이 아닐까? P권력욕이 S권력욕에 의해 균형을 잘 잡고 있는지 항상 물어야 한다."

7. 기업 관리자가 직원에게 동기 부여를 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최고의 관리자는 부하의 뇌 속에 있는 내면적 동기의 비밀 스위치를 켜는 방법을 알고 있다. 이 스위치를 켜서 내적 동기가 활성화되면, 직원들은 자기가 얼마나 많은 돈을 받을지를 거의 생각도 하지 않은 채 열성을 다해 일한다. 이때 관리자는 그 직원들에게 외적인 보상을 어떻게 해주겠다는 말로써 내적 추동력의 뒷다리를 붙잡지 않아야 한다."

놓치면 안되는 기사

팝업 닫기

WEEKLY BIZ 추천기사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