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띄우고 ICT로 추적하고… 수산물 안전 확보 세계 각국 비상

입력 2019.12.06 03:00

[Cover Story] 이것이 미래의 수산업

글로벌 수산업의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 매년 바다에 800만t 이상 쓰레기가 버려지고 환경오염이나 방사능 유출 등으로 수산물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수산업의 대응 방향도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글로브스캔의 수산물 소비 관련 설문조사(복수 응답 가능)에 따르면 10명 중 6명(63%)이 바다 오염으로 인한 수산물 안전에 신경 쓰고 있다. 이에 각 국가는 건강한 수산물을 효율적으로 양식·어획하고자 최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적용하고 있다. 어획·양식 과정을 공개해 수산물 품질에 대한 투명성을 강조하고 지속 가능한 수산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스마트 드론이 전남 완도군 망남리 인근의 전복 양식장을 정찰하고 있다.
스마트 드론이 전남 완도군 망남리 인근의 전복 양식장을 정찰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전 세계 양식 수산물의 절반 이상(약 6400만t)을 생산하는 중국은 수산 양식 분야에서 약품 사용을 줄이는 특별 단속을 시행하면서 수산물 안전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 수산 양식의 주요 지역 중 하나인 후베이성 전역 55개 현·시·구에는 수산물 품질 이력 추적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시범 기지 920곳과 유통 기업 31곳이 이력 추적 관리에 포함된 상태다.

덴마크는 덴마크공과대학에 수산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첨단 양식 기술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 덴마크는 자국 수산물 영향력 확대를 위한 기자재와 종묘 수출 200% 확대 등 구체적 계획을 담은 '2020 양식 전략'을 발표했다. 스마트 양식 기술 개발 업체에는 현대화 시설 비용 50%를 지원하는 정책도 내놓은 상태다.

러시아, 극동에 수산 클러스터 조성

아이슬란드는 지난 9월 국가 차원에서 건강한 양식업 육성을 위해 9억크로네(약 1153억원)를 예산에 배정했다고 밝혔다. 이 예산은 건강한 양식을 위해 양식업 감독과 관리를 강화하는 데 쓰일 것으로 알려졌다. 어류 양식 연구를 감독하는 해양연구소에 대한 예산 지원도 늘릴 방침이다.

일본은 '수산업으로 국가를 건강하게'라는 슬로건 아래 수산법 혁신안을 지난해 10월 내놓았다. 개혁안 내용을 보면 일본 정부는 2000년대 초반부터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 적용된 제조·유통 이력 추적 시스템을 어획 증명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 정비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방침이다. 소비자가 먹는 수산물 품질을 포함해 수산물이 어디서, 언제, 누구에게 잡혔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주요 국가별 수산업 육성안
러시아는 수산업 발전을 위한 '러시아 수산 발전 전략 2030' 계획을 지난 2016년 세웠다. 오는 2030년까지 수산업 관련 인프라에 최첨단 ICT를 적용하고 연해주 등 수산업 비중이 큰 극동 4개 지역에 대규모 수산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양식장 관리를 위해 드론 등 ICT를 활용하고 있다. 드론이 양식장의 실시간 수온과 물에 녹아 있는 산소량 등을 수집해 양식 관제 시스템에 전송하는 식이다. 수산물 성장에 방해되는 유해 부유물의 원격 제거와 수산물 품질의 실시간 파악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런 각 국가의 노력에도 수산물 안전성 위협은 여전하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화 때문에 특정 국가에서 생성된 안전하지 않은 수산물이 다른 국가의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칠 우려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수입국이 거래국의 생산 과정을 직접 감시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FAO 측은 "국경에서의 간헐적 검사는 더 이상 적절하지 않으며, 사안을 사전에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하려면 '대책과 대응'에서 '예측과 예방'으로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놓치면 안되는 기사

팝업 닫기

WEEKLY BIZ 추천기사

Cover Story

더보기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