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 정부 부처 절반 통폐합 결정에 시위 몸살

입력 2018.11.02 03:00

[Cover Story] 경제 위기 겪는 신흥국들… 한국은 어디로

지난 6월 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정부의 긴축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리고 있다.
지난 6월 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정부의 긴축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리고 있다. / 블룸버그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선 연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정부가 세금 인상과 공무원 인력 감축 등이 담긴 긴축 예산안을 통과시켰기 때문. 마우리시오 마크리 대통령은 지난 9월 "아르헨티나는 분수에 넘치게 살고 있다"며 정부 부처 19곳을 절반 수준으로 통폐합하고 내년 재정 지출을 27% 줄이는 긴축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 같은 긴축 정책 배경에는 IMF(국제통화기금) 구제금융이 있다. 아르헨티나는 3년간 571억달러(약 63조6000억원)의 구제금융을 받는 대신 GDP(국내총생산) 대비 재정 적자 비율을 지난해 3.9%에서 올해 2.7%, 내년 1.3%로 각각 낮추기로 IMF와 합의했다. 국가 부도를 막으려는 조치였다. 외환 보유액은 513억달러(약 58조원·7월 기준)에 불과하지만, 대외 부채는 2614억달러로 5배에 달하기 때문이다.

이런 재정 적자는 전임 키르치네르 부부의 통치 기간 중 축적됐다. '페론주의자'였던 이 부부는 정권을 잡은 12년 동안 세금으로 경기를 부양하고, 화폐를 찍어 부족 자금을 충당했다. 재임 기간에 일자리를 확대한다는 명목으로 230만명이던 공무원을 390만명까지 70% 늘렸고, 연금 지급 기준도 완화, 연금 수급자가 360만명에서 800만명으로 급증했다. 대외 부채 중 공공 분야가 차지하는 금액이 60%를 웃돌 정도였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외환 위기가 가속된 것이다.

미국 금리 인상에 중국행 수출 감소까지

아르헨티나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 아르헨티나 환율
환율이 치솟고 물가가 상승하면서 체감 경기는 더욱 악화됐다. 올 초 달러당 18페소 수준이던 화폐 가치는 현재 약 37페소로 50% 이상 하락했다. 급락세가 지속되자 중앙은행은 달러 유출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 초 27%에서 8월 말 60%까지 끌어올렸다. 물가도 급등했다. 1~9월 누적 물가 상승률은 32.4%, 연간으론 40.5%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지난 4~5년간 최대 교역국인 브라질 경기가 침체한 데다 애초 제조업 기반이 약한 산업 구조도 경기 회복을 막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농축산물과 광물(리튬) 등 원자재 수출에 의존하는 산업 구조다. 브라질(석유·대두 등)도 마찬가지. 여기에 원자재 수출 최대 고객인 중국 성장이 둔화되면서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환율이 오르면 보통 수출이 증가하지만 아르헨티나는 반대로 가고 있다. 지난 1~9월 아르헨티나 무역 적자는 전년 동기 대비 26.5% 증가한 64억5300만달러를 기록했다.

금융 정보 회사 C&T아세소레스에코노미코스의 마리아 코테르 이사는 "페소화 약세와 금리 인상에 따른 불확실성이 지출을 억제하면서 경기 회복을 막고 있다"면서 "내년 초엔 경기 침체가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IMF도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7월 0.4%에서 10월엔 마이너스 2.6%로 대폭 낮춘 상태다.

놓치면 안되는 기사

팝업 닫기

WEEKLY BIZ 추천기사

Cover Story

더보기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