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7.07.15 08:00
[On the IT]
IT 강국 대한민국, 지난 20년간 우리는 이 수식어를 진실로 받아들여 왔다. IT 인프라에 있어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다. 세계 어디에도 우리나라처럼 빠른 속도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나라는 없다. 그러나 글로벌 IT 기업으로 눈을 돌려보면 말이 달라진다.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한국, 그리고 한국 기업의 존재감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 세계시장에서 활약하는 IT 소프트웨어 기업, 글로벌 소프트웨어 서비스는 찾아볼 수 없다. 냉정하고 솔직하게 평가하자면, 재벌 계열사인 SI(시스템통합) 대기업들은 키 재기 경쟁에 몰두하고 있는 도토리 수준이고, 이들에게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중소기업들은 좀비에 가깝다. 세계 최고의 IT 인프라를 갖춘 나라가 이런 지경에 이른 이유는 무엇일까.
공정한 경쟁 질서가 무너진 데 원인이 있다. 재벌 계열사인 SI 기업들은 그동안 중소기업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OEM(주문제작) 방식으로 낮은 가격에 흡수한 뒤, 모(母)기업에 높은 가격을 받고 납품해 막대한 수익을 올려왔다. 땅 짚고 헤엄치기 식으로 비즈니스를 하며 국제적인 경쟁력을 쌓을 기회를 스스로 놓아 버렸다.
세계시장의 질서는 다르다.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계열사를 통해서 소프트웨어를 납품받는 일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경쟁력 있는 소프트웨어와 기술은 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에 세계 각국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시시각각 만들어내는 기술을 빠르게 흡수하며 성장한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클라우드업체 클라우딘을, 시스코가 앱 성능 분석업체 앱다이나믹스를 인수한 데 이어 아마존이 기업용 메신저업체 슬랙 인수를 추진하는 등 글로벌 대기업의 소프트웨어 기업 인수 소식이 끊이지 않는 것은 이 까닭이다.
중소기업 판로 막는 대기업 IT 업체들
하지만 우리나라의 재벌 SI 기업들은 중소기업으로부터 납품받은 소프트웨어를 중소기업이 다른 기업에 판매할 수 없게 하는 관행을 강요해 유망 중소 소프트웨어 업체의 판로를 막아왔다. 그 여파로 중소기업의 소프트웨어 납품 가격은 해가 갈수록 떨어지고, 일부 기업은 대기업에 기술 특허까지 빼앗기는 등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다. 서울 구로 가산디지털 단지의 수많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기업들은 SI 대기업이 제시하는 달콤한 수익에 기대어 연명하는 좀비로 전락한 지 오래다.
시장조사 업체 가트너는 현재 2000조원 정도인 세계 기업용 IT 시장 규모가 앞으로 3년 안에 그 두 배인 400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거대한 시장에 도전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가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기업은 우리나라에도 잠재해 있다. 하지만 이들이 세계시장에서 날개를 펼치기 위해서는 대기업 SI 업체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우리나라의 기업용 IT 산업 메커니즘에 대수술이 절실하다.
새 정부가 들어선 뒤 정비된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공정한 시장 질서 세우기가 화두로 떠올랐다. 이 화두가 4차 산업혁명의 주역인 기업용 IT 생태계에 먼저 적용되길 기대해 본다. 그래야만 새 정부의 3대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인 4차 산업혁명의 물꼬가 트이고, 진정한 의미의 IT 강국 대한민국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정한 경쟁 질서가 무너진 데 원인이 있다. 재벌 계열사인 SI 기업들은 그동안 중소기업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OEM(주문제작) 방식으로 낮은 가격에 흡수한 뒤, 모(母)기업에 높은 가격을 받고 납품해 막대한 수익을 올려왔다. 땅 짚고 헤엄치기 식으로 비즈니스를 하며 국제적인 경쟁력을 쌓을 기회를 스스로 놓아 버렸다.
세계시장의 질서는 다르다.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계열사를 통해서 소프트웨어를 납품받는 일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경쟁력 있는 소프트웨어와 기술은 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에 세계 각국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시시각각 만들어내는 기술을 빠르게 흡수하며 성장한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클라우드업체 클라우딘을, 시스코가 앱 성능 분석업체 앱다이나믹스를 인수한 데 이어 아마존이 기업용 메신저업체 슬랙 인수를 추진하는 등 글로벌 대기업의 소프트웨어 기업 인수 소식이 끊이지 않는 것은 이 까닭이다.
중소기업 판로 막는 대기업 IT 업체들
하지만 우리나라의 재벌 SI 기업들은 중소기업으로부터 납품받은 소프트웨어를 중소기업이 다른 기업에 판매할 수 없게 하는 관행을 강요해 유망 중소 소프트웨어 업체의 판로를 막아왔다. 그 여파로 중소기업의 소프트웨어 납품 가격은 해가 갈수록 떨어지고, 일부 기업은 대기업에 기술 특허까지 빼앗기는 등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다. 서울 구로 가산디지털 단지의 수많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기업들은 SI 대기업이 제시하는 달콤한 수익에 기대어 연명하는 좀비로 전락한 지 오래다.
시장조사 업체 가트너는 현재 2000조원 정도인 세계 기업용 IT 시장 규모가 앞으로 3년 안에 그 두 배인 400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거대한 시장에 도전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가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기업은 우리나라에도 잠재해 있다. 하지만 이들이 세계시장에서 날개를 펼치기 위해서는 대기업 SI 업체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우리나라의 기업용 IT 산업 메커니즘에 대수술이 절실하다.
새 정부가 들어선 뒤 정비된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공정한 시장 질서 세우기가 화두로 떠올랐다. 이 화두가 4차 산업혁명의 주역인 기업용 IT 생태계에 먼저 적용되길 기대해 본다. 그래야만 새 정부의 3대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인 4차 산업혁명의 물꼬가 트이고, 진정한 의미의 IT 강국 대한민국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Copyright ⓒ WEEKLY BIZ. All Rights Reserved
위클리비즈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