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6.11.19 03:05
통화정책의 변화
최근 글로벌 장기금리가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7월 초 연 1.36% 수준에서 최근에는 연 2.2%까지 올랐다. 특히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심리를 크게 높여 장기금리 상승세에 가속도를 붙였다. 선진국 장기금리가 상승하니 달러 가치는 덩달아 오르고 있고 신흥국에서는 자본이 대규모로 유출되고 있다.
지난여름부터 장기금리가 꿈틀댄 직접적인 원인은 유가의 반등세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이하 연준)가 계속 정책금리 인상을 시사한 것도 어느 정도 작용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선진국들의 중앙은행이 통화 완화정책을 더는 지속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점차 시장에 퍼졌기 때문이다.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의 여파를 막기 위해 마이너스 금리를 불사하는 공격적인 금리정책과 막대한 규모의 채권을 매입하는 양적 완화 프로그램을 가동해왔다. 그 결과 장기금리는 사상 최저기록을 계속 갈아치웠고, 이는 채권 시장의 강세로 이어졌다.
이렇게 8년간 이어진 완화적인 통화정책의 기조가 바뀌기 시작하는 징조를 보인 것은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였다. 국민투표 후 들어선 영국의 새 정부는 중앙은행인 영란은행과 정책 기조에서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새 정부는 통화정책 완화가 실물 경제 회복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으면서 금융 자산 가격의 급등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양극화 문제를 더 심화시켰다고 생각한다.
미국의 대통령 선거 결과도 브렉시트와 유사하게 연준의 기존 통화정책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당장 12월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부터 양적 완화 정책에 대한 입장 변화와 출구 전략이 모색될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 장기금리의 상승세는 언제까지 이어질까. 필자는 지금까지 인위적인 통화정책에 힘입은 부분을 반납하는 수준까지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본다. 일부에서는 장기금리 상승세가 30년 이상 지속돼 온 오랜 채권 강세장의 종언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앞으로 본격적인 채권 약세장이 시작돼 현재 연 3%까지 오른 3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5~6%까지 급등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성장 전망이 단기간에 개선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런 관측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최근 장기금리 상승은 채권 시장이 본격적인 장기 상승 국면으로 전환해서가 아니라, 그동안 초완화적인 통화정책의 결과로 인위적으로 금리가 눌린 부분이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맞게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기금리 상승세가 제한적인 범위에 머물더라도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은 적지 않다. 그동안 시장에서 잠시 잊혔던 문제들을 다시 전면으로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신흥국의 자본 유출이 두드러지면 신흥국 통화는 약세가 되고, 외화 채무 부담이 늘어난다. 그러면 경제 펀더멘털이 약하거나 그동안 외화 채무를 많이 늘렸던 신흥국들의 어려움은 가중된다.
중국의 경우 올해 초 있었던 대규모 자본 유출이 어느 정도 진정되면서 최근에는 완만한 위안화 약세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장기금리 상승은 이런 안정적인 흐름에 상당한 스트레스로 작용할 것이다. 자본 유출 규모가 확대되면 중국은 지금보다 더 큰 폭의 위안화 절하를 받아들일지, 아니면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국내 금리를 올려 국내 경기를 어느 정도 희생할지 양자택일해야 한다. 어느 선택을 하든 중국의 결정이 우리나라나 세계시장에 미칠 파장은 작지 않다.
장기금리 상승은 유럽에도 적지 않은 부담이다. 유럽 은행들은 다른 권역의 은행보다 월등히 높은 비중의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데 금리 상승은 고스란히 주요 자산인 국채 가격의 하락과 자본 손실로 이어진다. 이 경우 유럽 은행들의 기초체력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다시 대두할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는 금리 상승으로 더 늘어날 한계기업의 구조조정 노력과 함께 최근에 많이 늘어난 가계 부채를 적절히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금리 상승과 달러화 가치 상승이 가져올 경기 위축 효과를 상쇄할 수 있는 거시경제정책 수단이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지난여름부터 장기금리가 꿈틀댄 직접적인 원인은 유가의 반등세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이하 연준)가 계속 정책금리 인상을 시사한 것도 어느 정도 작용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선진국들의 중앙은행이 통화 완화정책을 더는 지속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점차 시장에 퍼졌기 때문이다.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의 여파를 막기 위해 마이너스 금리를 불사하는 공격적인 금리정책과 막대한 규모의 채권을 매입하는 양적 완화 프로그램을 가동해왔다. 그 결과 장기금리는 사상 최저기록을 계속 갈아치웠고, 이는 채권 시장의 강세로 이어졌다.
이렇게 8년간 이어진 완화적인 통화정책의 기조가 바뀌기 시작하는 징조를 보인 것은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였다. 국민투표 후 들어선 영국의 새 정부는 중앙은행인 영란은행과 정책 기조에서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새 정부는 통화정책 완화가 실물 경제 회복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으면서 금융 자산 가격의 급등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양극화 문제를 더 심화시켰다고 생각한다.
미국의 대통령 선거 결과도 브렉시트와 유사하게 연준의 기존 통화정책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당장 12월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부터 양적 완화 정책에 대한 입장 변화와 출구 전략이 모색될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 장기금리의 상승세는 언제까지 이어질까. 필자는 지금까지 인위적인 통화정책에 힘입은 부분을 반납하는 수준까지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본다. 일부에서는 장기금리 상승세가 30년 이상 지속돼 온 오랜 채권 강세장의 종언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앞으로 본격적인 채권 약세장이 시작돼 현재 연 3%까지 오른 3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5~6%까지 급등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성장 전망이 단기간에 개선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런 관측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최근 장기금리 상승은 채권 시장이 본격적인 장기 상승 국면으로 전환해서가 아니라, 그동안 초완화적인 통화정책의 결과로 인위적으로 금리가 눌린 부분이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맞게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기금리 상승세가 제한적인 범위에 머물더라도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은 적지 않다. 그동안 시장에서 잠시 잊혔던 문제들을 다시 전면으로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신흥국의 자본 유출이 두드러지면 신흥국 통화는 약세가 되고, 외화 채무 부담이 늘어난다. 그러면 경제 펀더멘털이 약하거나 그동안 외화 채무를 많이 늘렸던 신흥국들의 어려움은 가중된다.
중국의 경우 올해 초 있었던 대규모 자본 유출이 어느 정도 진정되면서 최근에는 완만한 위안화 약세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장기금리 상승은 이런 안정적인 흐름에 상당한 스트레스로 작용할 것이다. 자본 유출 규모가 확대되면 중국은 지금보다 더 큰 폭의 위안화 절하를 받아들일지, 아니면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국내 금리를 올려 국내 경기를 어느 정도 희생할지 양자택일해야 한다. 어느 선택을 하든 중국의 결정이 우리나라나 세계시장에 미칠 파장은 작지 않다.
장기금리 상승은 유럽에도 적지 않은 부담이다. 유럽 은행들은 다른 권역의 은행보다 월등히 높은 비중의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데 금리 상승은 고스란히 주요 자산인 국채 가격의 하락과 자본 손실로 이어진다. 이 경우 유럽 은행들의 기초체력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다시 대두할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는 금리 상승으로 더 늘어날 한계기업의 구조조정 노력과 함께 최근에 많이 늘어난 가계 부채를 적절히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금리 상승과 달러화 가치 상승이 가져올 경기 위축 효과를 상쇄할 수 있는 거시경제정책 수단이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
- 창업 어려운가? 인재 끌어들일 수 있는 사람 먼저 영입하라… '시리'도 각 분야 최고 기술자들이 만들어 멘로파크(미국)=김남희 기자
Copyright ⓒ WEEKLY BIZ. All Rights Reserved
위클리비즈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