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4.10.25 03:04
라틴어로 '고려하다'인 ratio에서 나온 말
크기·가격 등 따져본데서 비율 뜻하게 돼
증가와 감소의 정도 나타내는 말로 정착
rate는 물건의 양이나 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비율을 말한다. 라틴어로 '고려하다'인 ratio에서 나온 단어이다. 사람들은 두 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할 상황에서는 두 가지의 크기·가격·성능 등 여러 면을 따져보고 더 나은 것을 선택하기 때문에 '고려하다'였던 ratio는 점차 '비교하다, 비율'로 의미가 확장됐다. ratio의 일종에 속하는 rate는 비율 중에서도 증가와 감소 정도를 뜻한다. '합리적'이라는 rational, 고려할 것, 이유 등으로 쓰이는 reason 등과 사촌 단어다.
고대 로마인들은 주요 결정을 내리는 것을 저울로 물건의 무게를 재는 것으로 비유했다. 당시에는 금속도 무게를 달아 진짜 비싼 금인지 저렴한 철인지 구분했는데, 사업을 할 사람을 고르거나 중대한 결정을 할 때도 옵션이니 혜택·비용을 비교해 봐야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믿었다. 오늘날 금융가에서 자주 쓰이는 비용편익분석(cost benefit analysis) 같은 프로세스를 사용했던 것이다. 고대 로마인들은 어떤 일을 결정할 때 비교분석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라틴어로 '고려하다'인 ratio가 점차 1대3, 2대5 등 비율을 뜻하는 단어로 발전하면서 영어로 들어왔다.
오늘날 비즈니스맨들도 주식 상장사의 수익 비율인 price earnings ratio라 불리는 이윤 관련 비율을 통해 주식투자를 결정한다. 르네상스시대 이탈리아 과학자 갈릴레오가 중력에 의한 가속 등을 과학적으로 정의하는 방법을 내놓으면서 사람들에게 시간당 증가 비율 계산이 매우 중요해졌다. 대부분의 증가율이 시간을 기준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기 때문에 ratio에서 rate라는 단어가 파생됐다. 비즈니스에 중요한 rate에는 이자율(interest rate), 감가상각 비율(depreciation rate) 등이 있다.
고대 로마인들은 주요 결정을 내리는 것을 저울로 물건의 무게를 재는 것으로 비유했다. 당시에는 금속도 무게를 달아 진짜 비싼 금인지 저렴한 철인지 구분했는데, 사업을 할 사람을 고르거나 중대한 결정을 할 때도 옵션이니 혜택·비용을 비교해 봐야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믿었다. 오늘날 금융가에서 자주 쓰이는 비용편익분석(cost benefit analysis) 같은 프로세스를 사용했던 것이다. 고대 로마인들은 어떤 일을 결정할 때 비교분석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라틴어로 '고려하다'인 ratio가 점차 1대3, 2대5 등 비율을 뜻하는 단어로 발전하면서 영어로 들어왔다.
오늘날 비즈니스맨들도 주식 상장사의 수익 비율인 price earnings ratio라 불리는 이윤 관련 비율을 통해 주식투자를 결정한다. 르네상스시대 이탈리아 과학자 갈릴레오가 중력에 의한 가속 등을 과학적으로 정의하는 방법을 내놓으면서 사람들에게 시간당 증가 비율 계산이 매우 중요해졌다. 대부분의 증가율이 시간을 기준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기 때문에 ratio에서 rate라는 단어가 파생됐다. 비즈니스에 중요한 rate에는 이자율(interest rate), 감가상각 비율(depreciation rate) 등이 있다.
Copyright ⓒ WEEKLY BIZ. All Rights Reserved
위클리비즈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