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최고 랭글리 제치고 비행 성공한 건… 시행착오 거듭하며 오류 고쳐나간 덕분…
지금처럼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상황에선… 무수한 시도 끝 한번의 성공을 중시해야…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105/27/2011052701009_0.jpg)
1903년 12월 8일, 추운 날씨에도 워싱턴 D.C.를 가로지르는 포토맥 강에 수많은 인파가 모여들었다. 당대 최고의 물리학자이자 비행가인 랭글리(Samuel Langley) 박사의 역사적인 비행 실험을 보기 위해서였다. 스미소니언 협회의 회장인 랭글리 박사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비행기 개발을 추진했다. 두 달 전에 있었던 첫 실험의 실패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철저히 분석했다며 성공을 자신했다. 당연히 사람들의 기대감도 부풀어 올랐다. 오전 10시가 되자 비행기가 하우스 보트 위에 설치한 발사대를 미끄러져 출발했다.
하지만 비행기는 포토맥 강에 그대로 추락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말똥가리가 난파되었다'는 말로 미국 과학사의 가장 참담한 실패를 꼬집었고, 뉴욕타임스는 '사람이 하늘을 날기 위해서 앞으로 천 년은 족히 걸릴 것'이라고 비아냥거렸다.
9일 후 노스캐롤라이나의 키티호크 해변에서 라이트(Wright) 형제가 비행 실험을 시도했다. 12시 정각에 동네 사람 다섯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형인 윌버(Wilbur Wright)가 59초 동안 260미터를 날아가는 동력 비행을 성공시켰다. 랭글리 박사가 실패하고 천 년은 더 걸릴 것 같다는 유인 비행기 개발이 오하이오 데이턴에서 자전거포를 운영하는 무명의 형제들에 의해서 성공한 것이다.
어째서 당대 최고 과학자 랭글리 박사는 실패하고, 자전거포 주인 라이트 형제가 성공했을까? 더욱이 비행 이론을 체계화한 랭글리 박사는 정부 지원으로 17년간이나 비행기 개발에 매진했지만, 라이트 형제는 비행기를 띄우는 데 고작 4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결정적 차이는 비행기 개발을 바라보는 시각이었다. 랭글리 박사는 비행기가 떠서 나는 것이라 생각했고, 라이트 형제는 날다 보면 뜬다고 여겼다. 그래서 랭글리 박사는 뜨는 것(이륙)에 집중하여 가볍고 동력이 센 엔진 개발에 몰두했고, 배 위에서 비행체를 하늘로 쏘아 올렸다. 반면에 라이트 형제는 나는 것(비행)에 집중하여 공중에서 조종이 수월한 기체 설계에 힘쓰면서, 언덕 위에서 바람에 의해 비행기를 날리는 방식을 선택했다.
인류 최초의 비행기 개발은 고도로 불확실한 작업이다. 하늘에서 바람의 방향은 시시각각 바뀐다. 바람의 미묘한 차이에도 비행기는 추락할 수 있다. 라이트 형제는 페달을 밟지 않으면 넘어지는 자전거처럼 비행기도 조종하지 않으면 하늘에서 안전이란 있을 수 없다고 여겼다. 이론적이지는 않았지만 실험을 하면서 오류를 그때그때 개선해 나갔다. 랭글리 박사는 이론과 계획에 따라 행동했지만 라이트 형제는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계획을 바꾸었다. 이것이 라이트 형제가 랭글리 박사를 이긴 비결이다.
유행 주기가 짧아지고 변화가 빨라지고 있는 패션산업에서 자라, H&M, 유니클로 등 패스트패션 브랜드가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고 있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패스트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재빨리 포착해 고객들에게 즉시 제공하는 의류를 말한다. 기존 패션업체는 1년에 두 번 주기로 시즌에 판매할 의류를 사전에 기획한다. 패션쇼를 통해서 다음 시즌에 유행할 트렌드를 미리 예측하고 이에 맞추어 물량을 준비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패션 트렌드가 급변하고 예상치 못한 변수들이 유행에 영향을 주어 예측이 빗나가는 현상이 자주 발생했고 이에 따라 수익성이 악화됐다.
그래서 자라의 경우 트렌드 예측에 따라 생산하는 물량을 15% 이내로 축소시켰다. 85%는 고객반응에 따라 디자인을 바꿔서 생산한다. 다양한 디자인을 소량으로 생산한 후 소비자들의 반응에 따라 디자인과 계획을 변경하여 추가적으로 생산에 돌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 세계 어디든지 디자인에서 생산, 배송까지 2주 만에 완료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했다. 라이트 형제처럼 다양한 실험과 시도를 한 후 계획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불확실성을 이겨내고 있는 것이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105/27/2011052701009_1.jpg)
지금 한국기업이 당면한 도전이 바로 이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 전략으로 성장했다. 선진기업이 성공한 분야와 방법을 그대로 따라 빨리 실행했고 몇몇 분야에서는 그들을 추월했다. 그러나 우리 스스로 치고 나가야 하는 지금의 경영환경은 과거보다 훨씬 예측 불가능해졌다. 치밀한 계획을 세우고 무슨 일이 있어도 이를 실행하는 방식이 아니라, 10개를 시도해서 하나가 성공하면 여기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가장 시급한 것이 실패를 용인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다. 패스트 팔로워 입장에서는 방향이 명확하고 속도가 중요한 상황에서 실패를 다독거릴 여유가 없었다. 그래서 우리는 실패에 인색하다.
하지만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상황에선 하나를 위해 아홉을 기꺼이 희생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윌버 라이트는 이미 100년 전에 이 진리를 잘 알고 있었던 것 같다. "수많은 천재가 비행기 개발에 실패했습니다. 하지만 그건 능력 문제가 아니라 확률 문제였습니다. 관건은 확률을 어떻게 높이느냐, 얼마나 많이 시도하느냐에 달린 것이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