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비즈

이 그림의 비밀, 15세기에 이미 카메라가 있었다?

Culture 채승우 사진가
입력 2019.01.25 03:00

[채승우의 Photographic] (7) 사진과 미술의 만남

사진가
예술을 하려면, 혹은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탈, 파격적인 생각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어쩌면 예술의 변화를 이끌어 온 중요한 작가들은 남들과 크게 다른 생각을 한 사람 아닐까. 다른 생각을 한다고 모두 성공하는 건 아니겠지만, 적어도 성공한 사람들은 남다른 생각을 해본 사람들이다. 사진에 대해서 그렇게 생각한 작가가 있다. 현대미술가 데이비드 호크니(Hockney)다. 지난해 11월 한 미술품 경매에서 생존 작가로서 최고 가격으로 작품이 판매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 그림은 회화 작품이었지만, 그의 작업 바탕에는 사진에 대한 연구가 있다.

르네상스 시대 그림에 광학기기 흔적

호크니 연구는 15세기 르네상스 그림들에서 시작했다. 그는 어느 날 미술관에서 거장들 작품을 보다가 그림에 나타나는 이상한 흔적이 뭘까 궁금했다고 한다. 그 궁금증을 풀기 위해서 수많은 그림을 직접 보고 비교하면서 연구를 시작했다. 20m 크기 화실 벽에 수많은 그림 복사본을 시대 순서로 붙였는데, 호크니는 이를 '대장벽'이라고 불렀다.

호크니의 책 ‘명화의 비밀’ 표지. 호크니가 ‘카메라 루시다’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모습이다.
그림을 관찰하고 관찰한 끝에, 어떤 공통적인 특질이 있다는 걸 발견했다. 눈대중으로 보고, 손을 굴려가며 그림을 그리는 그림과 그렇지 않은 그림을 구분했다. 화가이기에 더 쉽게 알아챌 수 있었던 듯하다. 학생 시절 미술 시간에 데생했던 기억을 떠올려 보자. 교실 앞 모델을 그리기 위해 미술 연필로 도화지 위에 여러 번 선을 그어가며 형태를 만들어가지 않았나. 미술사에서 언젠가부터 여러 번 손자국 대신 단 한 번에 확신 있게 형태를 그려낸 자국들이 나타난다. 게다가 그런 그림들은 세부 묘사 역시 아주 뛰어나다.

호크니는 뭔가 광학 장치가 사용된 게 아닐까 생각했고, 다시 문헌과 자료를 뒤져 광학기계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찾아낸다. 그 결과, 광학 장치 발전 변화는 그림 변화와 딱 맞아떨어진다는 걸 알았다. 우리 생각보다 훨씬 많은 화가가 광학기계를 사용했다는 것과, 그 화가들이 광학기계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쉬쉬하며 숨겨왔다는 게 호크니 주장이다.

그 광학기계는 '카메라 옵스큐라', '어두운 방'이라 불렸다. 초기 것은 정말 사람이 들어가 그림을 그리는 방이었으며, 오목거울을 사용했다. 나중엔 사과상자만한 장치로 바뀌고 거울 대신 렌즈를 사용한다. 이 기록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노트에 있는데, 이 기계를 화가들에게 권한다는 메모도 있다. 다빈치가 직접 만들어 사용했다는 기록은 없다.

1820~1830년쯤 수많은 사진 기술이 발명됐는데, 그 발명이란 모두 화학에 대한 것이었다. 사진에 꼭 필요한 광학 장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었다. 우리가 사진기를 부르는 '카메라'라는 말이 '카메라 옵스큐라'에서 왔다는 사실은 말할 필요도 없다.

사진의 시작, 15세기로 올려 잡을 수도

파르미지노가 그린 이 그림에서 여인 왼손은 그 비례가 이상하다. 호크니는 카메라 옵스큐라를 움직여가면서 그린 결과로 판단한다.
카냐치의 1658년 작 ‘클레오파트라의 죽음’. 한 명의 모델을 촬영해 합성한 듯 얼굴이 모두 닮아 있다. 원작을 흑백으로 바꿔보면 더 사진에 가깝다.
여기에서 호크니의 파격적인 발상이 시작된다. 반드시 19세기 초 발명된 그걸 '사진'이라 부를 필요가 있을까? 광학 장치를 기준으로 본다면, 먼저 발명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리해 보면 이렇다. 15세기쯤 사진은 광학 장치와 사람 손이 결합한 형태로 태어난다. 그러다 19세기 초 화학적 발명들이 나타났고, 광학 장치와 필름 결합으로 바뀐다. 그 이후에는? 1980년대 전자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사진은 다시 광학과 전자 장치의 결합으로 바뀌었다. 지금 우리 모두는 그 결과물인 디지털 카메라를 쓰고 있다.

화학물질, 쉽게 '필름'이라고 하자. 필름을 사용한 기간은 19세기 초에서 20세기 말까지 150년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사진을 꼭 필름과 관련지어 말할 필요가 있을까. 19세기 초를 '사진의 탄생'이라고 말할 필요가 있을까.

정작 호크니 관심은 사진이 아니라 회화였다. 그의 연구에서 사진에 대한 언급은 간단히 그친다. 더 깊이 생각해보는 일은 우리 몫이다. 호크니 발상대로 사진에 대한 정의를 바꿔보면 어떻게 될까? 우선, 필름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 '사진은 역시 흑백'이라거나, '프린트 질이 좋아야 한다'라는 가치 평가는 필름 시대 것이다. 또 디지털 시대에 들어서 사진 조작이 쉬워진 걸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도 없다. 원래 사진은 사람 손이 닿아서 만들어지는 것이었으니까. 사진이 디지털과 만나면서 좀 더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해진 것이다.

화제의 Culture 뉴스

아들을 죽여 人肉 맛보게한 신하를 중용한 임금, 훗날…
잠 안오고 소화 안되고 손발이 차다? 茶로 다 치료됩니다
재택근무 중 활동량 늘리기, 가능한 한 서서 일하고 돌아다니며 통화하고 온라인 수업받고…
55세 이상 3.7%가 걸리는 뇌졸중, 싱겁게 먹고 육체 활동만 잘해도 절반은 예방
2017년 靑 만찬장에 오른 '춘'

오늘의 WEEKLY BIZ

알립니다
아들을 죽여 人肉 맛보게한 신하를 중용한 임금, 훗날…
'암흑의 숲'으로 들어가고 있는 미국과 중국
유럽 기업 빈부격차 줄이려면 '범유럽 주식형 펀드' 만들어야 한다
WEEKLY BIZ가 새롭게 탄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