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비대증 환자, 신우신염·방광염을 조심하라
Culture
이주용 세브란스병원 비뇨기과 교수
[Arts]
[CEO건강학] (12) 요로감염
대기업 임원을 지내다가 얼마 전 은퇴한 조모(60)씨. 작년 전립선비대증 진단을 받았으나 치료가 내키지 않아 차일피일 미루어왔다. 소변이 갑자기 마렵거나(절박뇨), 소변을 보고 난 뒤에도 남아 있는 듯한 느낌(잔뇨감) 등이 있었지만, 전립선비대증 때문이려니 했다. 그런데 며칠 전 갑자기 옆구리가 심하게 아프고 열이 나 병원에 갔다가 급성 신우신염 진단을 받았다.
급성 신우신염, 방광염 등을 통틀어 '요로감염'이라고 한다. 소변이 만들어져 몸 밖으로 나갈 때까지 지나가는 콩팥→요관→방광→요도 등의 소변 길을 '요로(尿路)'라고 한다. 요로에 생긴 염증이 요로감염이다.
요로감염은 7~8월에 많으며, 원인의 약 80%는 대장균이다. 여름에는 땀을 많이 흘려 위생 관리가 쉽지 않고 원활한 소변 배출을 막는 요로결석도 잘 생기기 때문이다.
요로감염 환자는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다. 여성들은 요도가 짧아 감염에 취약하다. 하지만 최근 추세를 보면 남성 요로감염 환자 수도 계속 늘고 있다. 신우신염 환자 증가 폭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크다.
인구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전립선비대증을 앓는 남성들이 늘고 있는 것이 한 원인이다. 소변은 하루 8회 이하로 보는데, 성인의 한 번 소변량은 300㎖쯤 된다. 전립선비대증이 있으면 용변 후에도 방광에 소변이 남을 수 있다. 소변이 오래 고여 있으면 감염에 취약해져 요로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다른 원인은 방광 요관 역류라는 병이다. 콩팥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요관을 지나 방광으로 들어가고 요도로 배출된다. 소변은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 간혹 거꾸로 흐르기도 하는데 이를 '방광 요관 역류'라고 한다. 이런 증상이 있을 때도 요로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방광 요관 역류가 심하면 수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