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비즈

각자 다른 연구한 세 명이 공동 수상… 2013년 노벨경제학상은 이례적 사건

People 이혜운 기자
입력 2016.09.03 03:05
'천동설을 주장한 프톨레마이오스와 지동설로 이에 반기를 든 코페르니쿠스가 노벨물리학상을 함께 받은 것과 같다.'

2013년 노벨경제학상을 유진 파마 시카고대 교수와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 라스 피터 핸슨 시카고대 교수가 공동 수상하자 존 케이 런던정경대(LSE) 교수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기고한 글이다.

파마 교수의 효율적 시장 가설이 인간의 합리성에 기반을 뒀다면, 실러 교수는 금융시장의 비이성적인 측면에 주목했기 때문에 두 사람 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핸슨 교수의 경우에는 시장의 효율적인 면과 비효율적인 면을 모두 반영해 예측 모델을 만든다.

각자 다른 연구를 한 세 명의 교수가 공동 수상을 한 것은 노벨경제학상 역사상 이례적인 일이었다. 당시 노벨위원회는 "자산 가격의 경험적 분석에 공로를 세웠다"며 세 교수에 대한 시상 이유를 밝혔다. 위원회는 또 "자산 가격의 움직임은 저축과 주택 매입, 국가 경제정책 등의 결정에 매우 중요하다"며 "자산 가격을 잘못 책정하면 최근 세계적 불황이 보여줬듯이 글로벌 금융 위기를 초래할 수 있으며 전체 경제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화제의 People 뉴스

"지금은 지속가능성이 가장 중요… 연구개발에 더 쏟아붓겠다"
코로나로 쑥쑥 커지는 협업 도구 시장… 경쟁도 피말려
슬랙+트렐로+먼데이닷컴… 실리콘밸리에 돌풍을 일으키다
코로나 뚫고 훨훨 날다, 별 5개 달고
어, 같은 소주인데··· 이 술은 왜 이렇게 담백해? 예, 비결은 감압증류죠

오늘의 WEEKLY BIZ

알립니다
아들을 죽여 人肉 맛보게한 신하를 중용한 임금, 훗날…
'암흑의 숲'으로 들어가고 있는 미국과 중국
유럽 기업 빈부격차 줄이려면 '범유럽 주식형 펀드' 만들어야 한다
미국인들이 코로나 위험 무릅쓰고 직장에 복귀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