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 ability
'손에 들다' 뜻 라틴어 habere서 출발
유용하다·능력있다는 뜻으로 확장
ability는 '능력'이다. '손에 들다'인 라틴어 habere에서 h가 묵음이 되어 만들어졌다. 고대 인류에게 손에 잘 잡히는 도구가 매우 유용해서 able은 '유용하다' '능숙하다'라는 의미로 발전했다. 명사형 ability는 능력이 되었다. '손에 들고 있다' 즉 '가지고 있다'를 뜻하는 동사 have, 오래 가지고 있어 익숙하다에서 '습관'으로 발전한 habit, '내 땅' 에서 서식처로 발전한 'habitat' 등과 사촌 단어다.
선사 유럽인들은 부족끼리 나누어 살았다. 대부분 유목 생활을 했다. 이동 중에 다른 부족과 마주치는 경우가 많았다. 마주칠 때는 자기들에게 남는 물건을 주고 필요한 물건으로 바꾸는 물물교환이 이루어졌다. 필요 없는 물건을 내주고 필요한 물건으로 맞바꾸는 것, 즉 주고받는 것을 선사 유럽어로 ghebe한다고 했다. 여기서 '준다'를 뜻하는 영단어 give 와 '가지다'의 라틴어 habere가 파생됐다. 지금은 서로 반대 의미로 쓰이는 단어 give와 have가 원래는 한 단어였던 것이다.
선사, 고대의 인간들은 나무를 캐거나 농사를 짓는 등 육체노동으로 생계를 이었다. 육체노동을 덜어주는 도구들이 차츰 발달했다. 그러나 자기에게 익숙한 도구 사용이 편했다. 로마인들은 그처럼 익숙한 기분을 habit이라고 했다. 오늘날에도 영어로 거주지를 'habitat'라고 하는데 이 단어에는 나에게 가장 익숙한 장소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자기 손에 익은 도구로 일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간에는 큰 능력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손에 익다'를 뜻하던 habere에서 h가 떨어지면서 able이라는 영어 단어가 생겨 '유용하다', 사람이라면 '능력 있다'라는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