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비즈

[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 modern

Opinion 조승연 오리진보카 대표
입력 2013.12.28 03:04

음조 뜻하는 라틴어 modus서 나와 유행하는 작곡스타일 의미하다가 현대적 스타일이란 뜻으로 확장

modern은 '현대적'이다. 단조, 장조 등의 음조를 뜻하는 라틴어 modus에서 왔다. 전통음악은 지역마다 음조가 달라 modus는 어떤 지역이나 시대 등에서 유행하는 작곡 스타일을 의미했다. 점차 '지금 여기서 유행하는 방식'을 거쳐 '현대적인 스타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기계의 설정인 mode, 대유행 중이라는 뜻인 la mode와 사촌 단어이다.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세계를 두루 여행했다. 여행 중에 지역마다 음악에서 각기 다른 특이한 음색을 발견했다. 나라마다 다른 음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음악의 분위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아내고 세상에는 크게 7가지 음계가 있는데, 특정 지방에서 어떤 음계가 유행하는가에 따라 전체적인 그 지역 음악 분위기가 달라진다고 주장했다. 라틴어로 피타고라스의 음계를 modus라고 했다.

지역이나 시대가 달라지면 의상·건축 등 형태와 분위기가 달라져, 마치 배경음악이 바뀐 것처럼 사회 분위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사람들은 점차 특정 시대나 지역을 대표하는 스타일 등을 modus의 프랑스식 표기인 mode라고 했다. 특히 17세기, 세계 패션의 중심지로 부상한 프랑스 파리에서부터 mode가 '패션 유행'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이기 시작했다. 이후로 mode의 변형인 modern이 시대적 유행을 뜻하다가 '현대적'이라는 의미로 굳었다.

1800년대 중반, 프랑스 시인 샤를 보들레르가 modernisme, 즉 현대주의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modern은 과거의 허례허식이나 거추장스러운 관습 등을 거침없이 벗어던지는 미학적 단어로 발전했다.

화제의 Opinion 뉴스

'암흑의 숲'으로 들어가고 있는 미국과 중국
유럽 기업 빈부격차 줄이려면 '범유럽 주식형 펀드' 만들어야 한다
미국인들이 코로나 위험 무릅쓰고 직장에 복귀할까
WEEKLY BIZ가 새롭게 탄생합니다
테슬라 팬들은 좀 침착해야 한다

오늘의 WEEKLY BIZ

알립니다
아들을 죽여 人肉 맛보게한 신하를 중용한 임금, 훗날…
'암흑의 숲'으로 들어가고 있는 미국과 중국
유럽 기업 빈부격차 줄이려면 '범유럽 주식형 펀드' 만들어야 한다
미국인들이 코로나 위험 무릅쓰고 직장에 복귀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