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비즈

[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 money

Opinion 조승연 오리진보카 대표
입력 2013.08.31 03:05

로마의 神 주피터의 아내인 주노의 별명 moneta에서 유래 원래는 신경 써서 지켜본다는 뜻 영어에 들어오면서 money가 돼

money는 로마 신 주피터의 아내 주노의 별명 moneta에서 유래했다. moneta의 본래 의미는 '신경을 써서 지켜본다' 또는 '돌봐준다'는 뜻인데, '남에게 신경 써 주는 사람'을 의미하는 mentor, '신이 악운을 예고하려고 보내는 괴물' monster와 같은 어원이다. 라틴어 moneta가 영어에 들어와 money가 됐다.

기원전 400년경의 로마는 북방 갈리아족의 침략을 받아 멸망 위기에 처하게 됐다. 놀란 시민들은 대부분 도망쳤다. 그러나 집정관인 마르쿠스 만리우스는 정예 병사들을 거느리고 언덕 위로 올라가 진을 치고 로마를 지켰다. 갈리아족은 만리우스가 잠든 깊은 밤에 절벽으로 기어올라 언덕 위의 만리우스 일행을 해치우려고 했다.

전설에 의하면 주피터의 주노가 거위를 보내 만리우스를 잠에서 깨워 절벽을 기어오르던 적들을 해치우고 승리하도록 했다. 만리우스는 감사의 뜻으로 자기 집을 주노의 신전으로 바쳤다. 자기가 잠든 사이에 위기 상황을 모니터해 주었다는 의미에서 이 신전을 juno moneta, 즉 모니터해 주는 주노 여신의 신전이라고 불렀다.

로마는 제국으로 발전한 후 주노가 눈을 부릅뜨고 국가의 돈이 제대로 관리되는지, 횡령하는 사람은 없는지 '모니터'해 줄 것으로 믿고, 화폐를 찍는 기관과 나라의 금고를 이곳에 유치했다. 돈을 moneta에서 찍어냈고 보관한다고 해서 money가 돈이 되어 영어로 들어왔다. money가 형용사로 바뀌면 monetary가 되는데, 이때 moneta의 원래 스펠링이 되살아나는 것이다.

화제의 Opinion 뉴스

'암흑의 숲'으로 들어가고 있는 미국과 중국
유럽 기업 빈부격차 줄이려면 '범유럽 주식형 펀드' 만들어야 한다
미국인들이 코로나 위험 무릅쓰고 직장에 복귀할까
WEEKLY BIZ가 새롭게 탄생합니다
테슬라 팬들은 좀 침착해야 한다

오늘의 WEEKLY BIZ

알립니다
아들을 죽여 人肉 맛보게한 신하를 중용한 임금, 훗날…
'암흑의 숲'으로 들어가고 있는 미국과 중국
유럽 기업 빈부격차 줄이려면 '범유럽 주식형 펀드' 만들어야 한다
미국인들이 코로나 위험 무릅쓰고 직장에 복귀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