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inion #View & Outlook

고령화 사회 중국에서 혁신이 필요한 전통의학

런슈리 블룸버그 칼럼니스트
  • 0
  • 0
입력 2019.09.06 03:00 수정 : 2019.09.16 09.28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WEEKLY BIZ Column]


런슈리 블룸버그 칼럼니스트
런슈리 블룸버그 칼럼니스트
중국은 오랫동안 전통 의학인 중의학(中醫學)을 나라의 보배이자 소프트파워 도구로 여겨왔다. 그러나 최근 중의학은 치료·조제 시 그 특유의 복잡성과 모호한 지식재산권 문제, 그리고 치솟는 건강보험 비용 등 큰 삼중고(三重苦)에 직면하고 있다.

중의학 종사자들은 중국을 넘어 체코, 남수단 등 전 세계 곳곳에서 한방(漢方)으로 환자들을 치료한다. 중국에선 공공 보험 지출액의 절반 이상이 중의학 치료에 따른 비용이다. 또 중국은 세계에서 둘째로 큰 제약 시장을 갖고 있는데, 2800억달러 시장의 40%가 한방 약품이다.

그럼에도 중의학을 바라보는 시각은 아직 비관적이다. 우선, 업계나 학계가 새로운 특허를 얻는 데만 전념하고 일상생활에 정말로 필요한 제품 개발에는 소홀하다. 또한 정부도 중의학 부문에 국가 보험 재정을 투입하기를 꺼린다. 가령 현행 규정상 정부는 주사기로 투여가 가능한 약품만 지원하고 있는데, 대다수 영세 한방 의원은 이러한 정부 보조 의약품을 사용할 의료 기기나 여건을 갖추고 있지 못해 대형 한방 병원만 정부 혜택을 누리고 있다. 이는 중앙정부의 재정 사정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중의학의 주요 소비자는 고령층이고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소비층은 여전히 튼튼하다. 그러나 고령화에 대처하는 중국 중앙정부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지표는 효율성이다. 정부는 지금 당장 효과를 낼 수 있는 의약품을 우선순위에 두고 재정을 지원한다. 반면 한약(漢藥)의 상당수는 효과를 보기까지 시간이 걸릴뿐더러, 질병의 예방과 회복 측면에서 정부의 목표와는 거리가 있다. 예를 들어, 명나라 때부터 수세기 넘게 이어져 내려온 대표 한약 상품인 편자황(片仔瀇) 등 일부 한약은 다양한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편자황이 실제 질병에 얼마나 어떻게 효과가 있는지 과학적 방법으로 제대로 측정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제대로 된 한의원을 찾기 어렵다는 점도 고민거리다. 양방 졸업자와 한방 졸업자의 비율이 약 4대1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한방 약품 제조업체들이 새로운 현실에 적응하려면 서양 방식으로 특정 화학 물질을 추출해내는 것도 방법이다. 그래야만 모든 의사들이 어느 병원에서든 처방전을 내려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한방업계에 무리한 요구일 수 있다. 한방은 양방처럼 약 한두 알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단순한' 의학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한약이 미국 식품 규제 당국의 규제 절차를 통과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변화를 거부하는 중의학은 여전히 그 체계가 매우 복잡하고, 중앙정부는 이러한 복잡한 치료법에 더 돈을 대 줄 여력이 줄고 있다.

위로가기 버튼